[매크로 이해 #6 고용지표 심화편 ] 한 편으로 깨부수는 고용지표!

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오늘은 매크로 이해 #2 환율 심화 편에 이어, 두번째 심화 편인 고용지표 심화 편을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주 경제지표 일정표를 보시면, 고용 지표가 잔뜩 모여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고용지표만 추려보았습니다.)

(화) JOLTs(8월 구인, 이직 보고서)
(수) 비농업부문 고용변 변화 (9월)
(목)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금) 비농업 고용자수 (9월), 실업률 발표 (9월)

연준은 지난 8월 말 잭슨홀 미팅에서 ‘평균물가목표제(AIT)’를 도입하고,
완전고용을 아래와 같이 재정의하였습니다.
= 폭넓고 포용적인 (Broad-based and inclusive goal)


이번 편에서는 고용지표의 기본 개념 및 해석하는 방법들과, 이번 주 고용 지표 발표 시 예상되는 시나리오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난 미국 8월 고용 보고서 내용을 통해 기본 개념 설명 및 해석 및 9월에 보아야 할 내용들을 다루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및 응원 부탁드립니다:)
-----------------------------------------------------------------

< 목 차 >
I. 미국 고용지표 길라잡이
I-1. 실업률, 경제활동 참가율, 고용률
I-2. 비농업 고용자수
I-3. 고용비용지수, 임금 상승률, 실질임금

II. 고용지표 관련 곡선(지표)
II-1. 필립스 곡선
II-2. 베버리지 곡선

III. 예상 시나리오 (스태그플레이션, 골디락스, 경기침체)

IV. 결론

-----------------------------------------------------------------
I. 미국 고용지표 길라잡이
-----------------------------------------------------------------

-----------------------------------------------------------------
I-1. 실업률, 경제활동 참가율, 고용률

★ 파월 의장의 발언 (2021년 11월 30일 상원은행위원회)

“ 경제활동참가율의 회복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단기간에 과거와 동일한 경제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

“ 더불어, 경제활동참가율은 실업률의 대대적인 개선을 보인 뒤에 회복되는 ‘후행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현재 그런 상황일 수 있다.

“즉, 팬데믹 이전의 고용시장이 되기 위해선 장기간의 ‘경제 확장기’가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인플레이션 안정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높은 인플레이션은 노동시장 회복에 있어서 가장 큰 위험이 될 것이다.”


(1) 실업률

● 실업률 = 실업자 수 / 경제활동인구

→ 즉,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몇 명인가요? 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2) 경제활동 참가율

●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노동가능인구

- 경제활동인구 = 실업자수+취업자수
- 노동가능인구 =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
(=16세 이상의 고용상태와 비고용상태)

→ 즉, 노동을 할 수 있는 인구 중 실제로 경제 활동 하는 사람은 몇 명인가요? 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지난 미국 8월 고용보고서를 보면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차 우상향되었지만, 아직 팬데믹 이전 수준은 아닌것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tradingview.com/x/Hw5ZmpyN/

◆ Q & A 1. 실업률이야 당연히 중요하지만, 경제활동참가율은 복잡한데 뭘 보는 거죠??
① 경제활동참가율은 ‘단기적’으로 미국의 ‘노동 공급’ 상황을 알려줌.
- 수치가 낮다면?
= 고용시장에서 취업 의지를 가진 사람들이 적음 (근로자의 노동 공급↓)
= 기업의 노동수요 > 근로자의 노동 공급
→ 따라서, 경제활동참가율 ↓ = 임금 상승 의미로 생각할 수 있음.

② 경제활동참가율은 ‘중장기적’으로 미국의 구조적인 고용 상황과 성장을 알려줌.
- 얼마나 경제활동을 활발하게 하는지 = ‘구조적’으로 얼마나 튼튼한지
→ 경제활동참가율↑ = 잠재 GDP ↑

★ ③ 경제활동참가율과 실업률의 관계
https://www.tradingview.com/x/1iiS7jVC/

◆ Q & A 2. 그럼 지금 근로자들은 일하기 싫은건가요??
“나라에서 실업 급여도 주고, 지금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얼마인데 이것 받고 일하라고???”
- 지원금, 실업급여 / 양적 완화, 금리 인하 등
= 재정정책 + 통화정책 콜라보 ㅠㅠ
→ 즉, 기대인플레이션상승 → 근로자의 명목임금 상승 요구 (돈 더주세요!)
→ 기업의 비용 증가 → 상품 및 서비스 가격 상승 → 다시 물가 상승 → 다시 BEI 상승....

(3) 고용률

● 고용률
= 취업자수 / 노동가능인구 (15~64세)
= 경제활동참가율 X (1- 실업률)
→ 실질적인 고용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음.

◆ Q & A 3. 실업률이 하락하면 고용률이 상승하나요??
- 꼭 그렇지는 않음, 경제활동참가율로 계산하기 때문임.
→ 즉, 실업률이 하락해도 경제활동참가율이 제대로 회복하지 못하면 고용률은 개선되지 않음.

https://www.tradingview.com/x/MfLC3OHg/

-----------------------------------------------------------------
I-2. 비농업 고용자수

● 비농업 고용자수 = ‘기업’의 ‘노동 수요’
- 기업의 노동수요 ▲ → 노동임금 상승 압력
→ 인플레이션 상승
- 기업의 노동수요 ▼ → 노동임금 하락 압력
→ 인플레이션 하락

https://www.tradingview.com/x/R3V8nGDN/

즉, 금요일 발표되는 9월 미국 비농업고용자수의 발표는

① 예상치 상회? → 연준의 긴축 근거로 계속 작용 가능

② 예상치 크게 하회? → 금리 인상의 우려는 감소하지만, 경기 침체 발생 가능성

따라서, 시장의 예상치와 최대한 비슷하게 나오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I-3. 고용비용지수, 임금상승률, 실질임금

(1) 고용비용지수 (Employment Cost Index)

● 고용비용지수 (ECI) = 기업의 지출 중 노동비용의 변화를 지수 형태로 작성
(노동 비용 / 기업 운영 비용 → 지수화)

● 노동 비용 ▲ ( 기업 운영 비용 중)
→ 노동자에 대한 보상 증가
→ 기업 이윤 하락 → 가격 인상

☆ 실제로, 고용비용지수(ECI)와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유사한 움직임을 보임

https://www.tradingview.com/x/In9DPOtJ/

(2) 임금상승률

● 임금 상승
: 노동 공급 정체 상황 (경제활동참가율 회복 부진) 에서
노동수요 증가 (실업률 하락)이 지속 시
→ 노동 수요 > 노동 공급
→ 따라서, 임금 상승 ▷ 물가 상승 악순환 (wage-price spiral)

▶ 기대인플레이션(BEI)의 상승 (위에 적었던 대로 또 반복.....)

(3) 실질임금

● 실질임금 = 명목임금 / 소비자물가지수

- 명목임금 = 그냥 현재 받은 임금
- 실질임금 = 받은 돈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수량’ = ‘구매력’
(만원이 있는데, 아이스크림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오르면 10개 → 5개 밖에 못사니까요)

● 노동자 to 기업
- 실질 임금 못 올려주지? 그럼 명목 임금이라도 올려줘 (돈 더 줘!)
→ 명목임금 상승 → 단위노동비용 (노동하는 것에 비해 받는 돈) ↑
→ 기업은 가격 인상
→ 따라서, 임금 상승 ▷ 물가 상승 악순환 (wage-price spiral)

https://www.tradingview.com/x/NE4qxto4/

-----------------------------------------------------------------
II. 고용지표 관련 곡선 (지표)
-----------------------------------------------------------------

-----------------------------------------------------------------
II-1. 필립스 곡선

● 필립스 곡선 = 임금상승률 (세로축)과 실업률 (가로축) 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 일반적으로 우하향함.
- 임금상승률(=물가상승률) & 실업률은 (-)역의 관계 성립.
→ 즉, 실업률 하락 → 물가 상승률 증가
실업률 상승 → 물가 상승률 감소.
▶ 낮은 실업률과 낮은 인플레이션은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

◆ Q & A 4. 필립스 곡선이 평탄화 되었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타남.
○ 저인플레이션 밴드 모형 (low inflation bend model)
→ 즉, 인플레이션이 낮은 구간에서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성이 약해지는 모습을 보임.
● 팬데믹 = 고 인플레이션 상황
→ 급격하게 필립스 곡선이 우하향화 되며, 실업률 &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해질 것으로 보임.
▶ 낮은 실업률과 낮은 인플레이션은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

연준도 이것을 알기 때문에, 파월 의장은 4%대의 실업률을 예상하면서도 미미한 실업률이라고 포장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더 심화로 가면... 단기 필립스 곡선에서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실업률을 희생해야 한다고 경제학자들은 말하니까요)


https://www.tradingview.com/x/p7tQgxJ9/

-----------------------------------------------------------------
II-2. 베버리지 곡선

● 베버리지 곡선 = 노동공급(실업률)과 수요(구인비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 현재가 어느 경제 사이클에 해당하는지를 알 수 있음!

- 세로축 : 수요 (빈일자리)
- 가로측 : 공급 (실업률)
- 통상적으로 우하향

-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구인비율 = 빈일자리(구인) / 실업자 (구직)

① 경제확장기 : 유휴 노동력 축소 → 곡선 좌상방 이동
(노는 사람이 적어지니, 실업률은 줄고, 빈일자리는 늡니다. 기업도 일자리를 늘리니까요)

② 경제수축기 : 유휴 노동력 확대 → 곡선 우하방 이동
(노는 사람은 많아지니, 실업률은 늘고, 기업도 일자리를 줄이니 빈일자리도 줄어듭니다)

③ 노동시장 효율성 하락 : 구인비율, 실업률 동시 상승 → 곡선 우상방 이동

https://www.tradingview.com/x/cjFL3ewL/

즉, 위 그림처럼 22.1Q → 22.2Q의 팬데믹 이후로의 변화를 보면,
베버리지 곡선이 우상향 이동 되었고, 이는 매칭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재 미국 시장이 노동시장 효율성 하락의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III. 예상 시나리오 (스태그플레이션, 골디락스, 경기침체) ★
-----------------------------------------------------------------

https://www.tradingview.com/x/g2f3CItV/

(1) 스태그플레이션 시나리오

●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침체 +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① 실업률 : 보합 및 상승
② 경제활동참가율 : 전월보다 크게 하락
③ 비농업 고용자수 하락 : 시장 예상치 (크게) 하회
④ 임금상승률 : 예상치 보다 증가

▶ 즉, 일 안하는 사람도 많은데, 사람들이 임금이 낮으니 경제도 참가 안하고, 기업이 사람 구하려해도 돈 더 안주면 일 안하다하는....경기침체와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상태

★ 스태그플레이션 시 시장 전망
→ 높은 인플레이션이 유지 됨에 따라 → 연준 긴축 유지 (프론트 로딩 유지) → 경기 침체 가능성 증가
→ 증시 하락, 장기금리 상승 (채권 매력이 떨어지므로), 달러 가치 상승

(2) 골디락스 시나리오

● 골디락스 = 성장이 견조하게 유지 + 물가도 안정

① 실업률: 소폭 상승
② 경제활동참가율 : 크게 상승
③ 비농업 고용자수 하락 : 시장 예상치 소폭 하회
④ 임금상승률 : 예상치 보다 하락

▶ 즉, 일을 하려고는 하는데, 실업률은 살짝 오르고 기업의 노동 수요는 약간 줄면서, 임금 안정이 되고! 임금 상승률 역시 하락하면 금상첨화입니다.

★ 골디락스 시 시장 전망
→ 연준 비둘기 전환 기대 (dovish pivot) → soft landing(연착륙) 가능성 증가, 인플레이션 둔화 및 기준금리인상 폭 둔화
→ 증시 상승, 장기금리 하락 (채권 매력 상승), 달러 가치 하락 (달러의 경우 대외적 요인에 따라 변동 가능)

(3) 경기침체 시나리오

① 실업률 : 크게 상승
② 경제활동참가율 : 보합 또는 하락
③ 비농업 고용자수 하락 : 크게 하회
④ 임금상승률 : 크게 감소

▶ 즉, 일을 하려고 하는데, 기업이 경기침체로 일자리를 줄여서 일을 못하고, 그에 따라 임금도 줄어듬에 따라 오히려 경기침체 발생.

★ 경기침체 시 시장 전망
→ 수요 둔화 및 인플레이션 제어 (경기침체 후 골디락스 가는 과도기 경기사이클일 수도 있음.)
→ 증시 보합 및 하락, 장기금리 보합 및 하락, 달러가치 보합 및 상승

-----------------------------------------------------------------
IV. 결론
-----------------------------------------------------------------
1. 고용지표를 통해 단순 실업률, 고용률 뿐만 아니라, 물가와의 연동성, 인플레이션과의 상관관계 등 경제 전반적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2. 어제 제조업 지수 발표 이후 나스닥 및 크립토 시장 상승 등, 역시나 매크로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큰 시기입니다.

3. 이번 편에서 공부한 개념과 예상 시나리오를 염두하며 이번 주 고용지표를 확인하신다면, 더욱 적절히 시장에 대응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Yonsei.dent의 게시글은 자산의 매수/매도 등을 추천하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매매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하시기 바랍니다


Beyond Technical Analysisemployment_ratefedFOMCFundamental Analysisinflationjoltslabor_forceunemployment

Yonsei_dent ★TRADING ACADEMY
contents.premium.naver.com/yonseident/ysdent

Yonsei_dent의 경제분석 Telegram
t.me/TeamYonseiDent

Yonsei_dent 카카오톡 (2580)
open.kakao.com/o/gXJjXvxe
更多: